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모음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1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2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4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5과목 변형

 

1. 200.1.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10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때 서브네팅된 네트워크 중 10번째 네트워크의 broadcast IP주소를 구하시오.

더보기

200.1.1.159


2. 8.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로 203.241.132.82/27과 같이 사용되었다면, 해당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구하시오.

더보기

255.255.255.224


3. 192.168.1.0/24 네트워크를 FLSM 방식을 이용하여 4개의 Subnet으로 나누고 IP Subnet-zero를 적용했다. 이 때 Subnetting 된 네트워크 중 4번째 네트워크의 4번째 사용가능한 IP를 구하시오. 

더보기

192.168.1.196


4. 다음 설명의 ㉠과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을 작성하시오.

가상기억장치의 일반적인 구현 방법에는 프로그램을 고정된 크기의 일정한 블록으로 나누는 ㉠기법과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는 ㉡ 기법이 있다.
더보기

㉠ : Paging, ㉡ : Segmentation


5. 다음의 페이지 참조 열(Page reference string)에 대해 페이지 교체 기법으로 선입선출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Page Fault) 횟수는를 쓰시오. (단, 할당된 페이지 프레임 수는 3이고, 처음에는 모든 프레임이 비어 있다.)

7,0,1,2,0,3,0,4,2,3,0,3,2,1,2,0,1,7,0
더보기

14

 

선입선출이므로  FIFO 방식이다

숫자가 이미들어있으면 부재를 카운팅 하지 않고 숫자가 없으면 카운팅을 한다

그리고 숫자가 들어왔는데 자리가 없으면 가장 먼저 들어온 녀석을 빼버리고 새로운 숫자를 넣는다


6.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결함의 발생 횟수는?

페이지 참조 순서 : 1, 2, 3, 1, 2, 4, 5, 1
더보기

6회


7. 3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에서 페이지 참조 순서가 1, 2, 1, 0, 4, 1, 3 일 경우 FIFO 알고리즘에 의한 페이지 교체의 경우 프레임의 최종 상태는?

더보기

4, 1, 3


8.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 초기에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몇 번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지 구하시오.

페이지 참조 순서 1,2,3,1,2,4,1,2,5
더보기

5회


 

9. SJF(Shor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을 때, 평균 반환 시간과 평균 대기 시간을 계산하시오.

더보기

평균 반환 시간 : 11.5 
평균 대기 시간 : 6


10.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을 때,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을 사용할 경우 가장 먼저 처리되는 작업을 쓰시오.


11. HR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처리되는 작업 순서를 쓰시오.

더보기

D→B→C→A

 

대기 시간과 서비스(실행) 시간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에 불리한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12. 다음과 같은 3개의 작업에 대하여 FCFS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임의의 작업 순서로 얻을 수 있는 최대 평균 반환 시간을 T, 최소 평균 반환 시간을 t라고 가정했을 경우 T-t의 값을 구하시오.

더보기

6

 

FCFS는 FIFO와 방식이 같고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프로세스이다.

문제에서 임의의 작업 순서라고 했고 최대 평균 반환시간-최소 평균 반환시간을 구하면 된다

 

반환시간은 실행시간 + 대기시간을 더한 값이다

 만약 p1, p2, p3 순서로 들어왔다면 아래와 같은 것이고

아래 같은 경우의 평균 반환시간은 (9+12+24)/3=15이다 

 

평균반환시간이 최대가 되려면 순서가 실행시간이 큰 순서대로 12,9,3이여야하고

평균반환시간이 최소가 되려면 순서가 실행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3, 9,12이여야 하므로

 

최대 평균반환시간은 (12+21+24)/3=19

최소 평균반환시간은 (3+12+24)/3=13

따라서 T-t=19-13=6

 


13.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들이 준비상태 큐에 있을 때 평균 반환시간과 평균 대기시간을 구하시오 

더보기

평균 반환시간 : 13, 평균 대기시간 : 7


14. 준비 상태 큐에 프로세스 A, B, C가 차례로 도착하였다. 라운드 로빈(Round Robin)으로 스케줄링할 때 타임 슬라이스를 4초로 한다면 평균 반환 시간은?

더보기

17초

 

RR은 프로세스가 하나 끝날 때까지 CPU를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할당된 시간만큼 돌아가며 처리하는 방식이다.

시간제한이 있고 그 시간제한동안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시간이 초과되면 맨뒤 순서로 가서 다시 실행되길 기다린다.

 

반환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 도착시간

대기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도착 시간-실행시간

 

이 문제에서는 도착시간이 없어서 모두 0이다.

A가 최종종료된 반환시간은 26

B가 최종종료된 반환시간은 8

C가 최종종료된 반환시간은 17

평균 반환 시간= (26+8+17)/3=17


15. 다음을 라운드 로빈으로 스케쥴링하는데 시간 할당량은 3이다. 다음 프로세스들의 평균 반환시간과 평균 대기시간을 구하시오.

더보기

평균 반환 시간 : 11

평균 대기 시간 : 6

 

반환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 도착시간

P1 반환시간 =15-0=15

P2 반환시간 =13-1=12

P3 반환시간 =8-2=6

 

평균 반환시간 = (15+12+6)/3=11

 

대기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도착 시간-실행시간

P1 대기시간 = 15-0-8=7

P2 대기시간 = 13-1-5=7

P3 대기시간 =  8-2-2=4

 

평균 대기시간=(7+7+4)/3=6


16. 다음을 SRT로 스케쥴링하는데, 다음 프로세스들의 평균 반환시간과 평균 대기시간을 구하시오.

더보기

평균반환시간 : 13

평균대기시간 : 6.5

 

 

최단 잔여시간을 우선으로 하는 스케줄링이다

진행 중인 프로세스가 있어도, 최단 잔여시간인 프로세스를 위해 sleep 시키고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할당한다.

 

먼저 P1밖에 없으므로 P1을 실행한다.

그런데 1초후에 P2가 들어왔는데 P1보다 짧기 때문에 P1을 중단시키고 P2를 실행한다.

P2가 실행이 완료된 후 P3, P4는 이미 그 전에 들어왔고 P4가 더 짧으므로 바로 P4가 실행된다.

이 이후는 그냥 짧은 순으로 진행된다

 

반환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 도착시간

P1 반환시간 =17-0=17

P2 반환시간 =5-1=4

P3 반환시간 =26-2=24

P4 반환시간=10-3=7

 

평균 반환시간 = (17+4+24+7)/4=13

 

대기시간 = 프로세스가 끝난 시간-도착 시간-실행시간

P1 대기시간 = 17-0-8=9

P2 대기시간 = 5-1-4=0

P3 대기시간 = 26-2-9=15

P4 대기시간 = 10-3-5=2

 

평균 대기시간=(9+0+15+2)/4=6.5


17. TCP/IP 모델 중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경로선택과 폭주 제어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ARP, RARP 등의 프로토콜이 제공되는 계층을 쓰시오.

더보기

인터넷 계층

(OSI계층으로는 네트워크 계층임)


18. 다음중 OSI 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인 것을 모두 고르시오

ㄱ. HDLC
ㄴ. TCP
ㄷ. LLC
ㄹ. ARP
ㅁ. BGP
ㅂ. LAPB
ㅅ. LAPD
ㅇ. PPP
ㅈ. DHCP
ㅊ. FTP
더보기

ㄱ. HDLC

ㄷ. LLC

ㅂ. LAPB

ㅅ. LAPD

ㅇ. PPP


19. HDLC의 프레임 중 링크의 설정과 해제, 오류 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ㄱ. Information Frame
ㄴ. Supervisory Frame
ㄷ. Response Frame
ㄹ. Unnumbered Frame
더보기

ㄹ. Unnumbered Frame (비번호 프레임)


20. OSI 7계층 중 홉 단위로 수행되는 프로토콜로서 실제 패킷 전달을 위해 통신망 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로만 나열된 것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ㄱ. 응용계층, 표현계층, 세션계층
ㄴ. 세션계층, 트랜스포트계층, 데이터링크계층
ㄷ. 네트워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물리계층
ㄹ. 트랜스포트계층, 네트워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더보기

ㄷ. 네트워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물리계층

 

패킷은 네트워크계층에서 쓰는 전송데이터를 지칭하는데

실제 패킷 전달을 윟 ㅐ통신망 노드에서 필요한 프로토콜은 제1계층에서 제3계층인 물리~네트워크 계층이다.


21. 자동 재전송 요청(ARQ) 중 데이터 프레임의 정확한 수신 여부를 매번 확인하면서 다음 프레임을 전송해 나가는 가장 간단한 오류제어 방식을 고르시오.

ㄱ. Go-back-N ARQ
ㄴ. Stop-and-Wait ARQ
ㄷ. Selective-Repeat ARQ
ㄹ.  Continuous ARQ
더보기

ㄴ. Stop-and-Wait ARQ


22.TCP/IP 모델 중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순서제어와 에러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23.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AS(Autonomous System)간의 라우팅 테이블을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것을 쓰시오.


24.  HDLC의 데이터 전송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ㄱ. NRM
ㄴ. ABM
ㄷ. ARM
ㄹ. DCM
더보기

ㄱ, ㄴ, ㄷ

 

정규 응답 모드(NRM; Normal Response Mode)

비동기 균형 모드(ABM; Asynchronous Balanced Mode)

비동기 응답 모드(ARM; Asynchronous Response Mode)


25. 호스트의 물리 주소를 통하여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얻어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더보기

RARP


26. 자동재전송요청(ARQ)기법 중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

더보기

Go-back-N ARQ


27. HDLC 프레임 형식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되는 것

더보기

제어영억(제어 필드: Control Field)


28. 점-대-점 링크뿐만 아니라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하여 ISO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더보기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29.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에러 체크 방식을 고르시오.

프레임 단위로 오류 검출을 위한 코드를 계산하여 프레임 끝에 FCS를 부착하며, 이를 FCS라 한다.
<보기>
ㄱ. LRC(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ㄴ.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ㄷ.  CRC(Cyclic Redundancy Check)
ㄹ.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더보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


30. 문자 동기 전송방식에서 데이터 투명성(Data Transparent)을 위해 삽입되는 제어문자를 아래에서 고르시오.

<보기>
ㄱ. ETX
ㄴ. STX
ㄷ. DLE
ㄹ. SYN
더보기

ㄷ. DLE

 

풀이

SYN : 동기문자
STX : 시작문자
ETX : 종료문자
DLE : 제어문자 앞에 추가적으로 삽입(데이터 투명성)


31. HDLC 프레임 중 전송되는 정보프레임에 대한 흐름 제어와 오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아래에서 고르시오.

ㄱ. Information Frame
ㄴ. Supervisory Frame
ㄷ. Response Frame
ㄹ. Unnumbered Frame
더보기

ㄴ. Supervisory Frame(감독 프레임)


32. HDLC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정의하는 것

더보기

플래


33.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 프로토콜을 쓰시오

ㄱ. 메시지를 encapsulation과 decapsulation 한다
ㄴ. 서비스 처리를 위해 multiplexing 과 demultiplexing을 이용한다
ㄷ. 전이중 서비스와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34. 다음 설명하는 프로토콜을 쓰시오.

ㄱ. ITU-T에서 정의한 패킷교환 표준
ㄴ. DTE(Data Terminal Equipment)와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사이의 인터페이스
ㄷ. 물리계층, 링크계층, 패킷 계층을 기반으로 하며 광역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
더보기

X.25


35. 다음 그림과 같은 전송 방식을 고르시오.

출처 :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ㄱ. 문자 위주 동기 방식
ㄴ. 비트지향형 동기방식
ㄷ. 조보식 동기방식
ㄹ. 프레임 동기방식
더보기

ㄱ. 문자 위주 동기 방


36. 순방향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에 사용 되는 오류 검사 방식을 아래에서 고르시오.

ㄱ. 수평 패리티 검사
ㄴ. 수직 패리티 검사
ㄷ.군 계수 검사
ㄹ. 해밍 코드 검사
더보기

ㄹ. 해밍 코드 검사


37. 데이터 전송 중 한 비트에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수신측에서 정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아래에서 고르시오.

ㄱ. P/F
ㄴ. HRC
ㄷ. Checksum
ㄹ. Hamming code
더보기

ㄹ. Hamming code


38. 데이터 프레임의 정확한 수신 여부를 매번 확인하면서 다음 프레임을 전송해 나가는 ARQ 방식은

더보기

Stop-and-Wait ARQ


39.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아래에서 고르시오.

ㄱ. ICMP
ㄴ. RIP
ㄷ. ARP
ㄹ. HTTP
더보기

ㄴ. RIP


40. 외부 네트워크에서 알려진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변환하는 것


41.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비트 착오를 검출해서 1bit 착오를 정정하는 부호 방식

더보기

Hamming code



여기부터는 필기 기출변형이 아닌 그냥 네트워크+운영체제 예상문제입니다

 

 

1.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이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를 영어로 쓰시오.

더보기

Syntax, Semantics, Timing

구문, 의미, 시간


2. 특징이 다른 여러 호스트를 서로 연결해 통신하려면 연결 방식을 표준화해야 하는데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을 제안하였다. 쉽게 말해 네트워크를 만들 때 이런 식으로 만들라고 하는 참고자료가 바로 OSI 7계층이다. 다음은 OSI7계층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하는 계층을 영어로 쓰시오.

ㄱ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ㄴ :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ㄷ :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보내기 전에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하고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코드 변환, 데 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ㄹ : 논리적 안정과 균일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단시스템 간에 투명한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게 함
ㅁ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
ㅂ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직접 연결된)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결 설정 유지 및 종료를 담당(프레이밍,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동기화)
ㅅ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직접 연결된)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결 설정 유지 및 종료를 담당(프레이밍, 흐름제어, 오류제어, 접근제어, 동기화)
더보기

ㄱ : Application

ㄴ : Presentation

ㄷ : Session

ㄹ : Transport

ㅁ : Network

ㅂ : Data Link

ㅅ:  Phyiscal

 


3. OSI7계층에서 전송 데이터는 송신 호스트의 응용 계층에서 시작해 하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물리 계층에서 수신 호스트에 전달되는데 데이터가 하위 계층으로 이동할 때는 각 계층의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헤더 정보가 추가되며(물리 계층 제외) 그렇게 각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필요한 정보(헤더)를 붙여 다음 계층에 보내는 과정을 (가)라고 하며 수신 호스트에서는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응용 계층에 도착하게 되는데 상위 계층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추가됐던 헤더 정보를 제거하고 해석하는데 이 과정을 (나)라고 한다.

더보기

(가) : 캡슐화(Encapsulation)

(나) : 역캡슐화(Decapsulation)

 


4.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더보기

DNS(Domain Name System)


5. 다음은 페이지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이다. 설명에 해당하는 약어를 쓰시오.

ㄱ : 앞으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벨레이디(Belady)가 제안
ㄴ :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마다 그때의 시간을 기억시켜 가장 먼저 들어오고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 체하는 기법
ㄷ : 최근에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ㄹ :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ㅁ : ㄷ과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ㅂ : 가장 오랫동안 주기억장치에 있던 페이지 중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를 방지하기 위한 기법
더보기

ㄱ : OPT(OPtimal replacement, 최적 교체)

ㄴ :  FIFO(First In First Out)

ㄷ : LRU(Least Recently Used)

ㄹ : LFU(Least Frequently Used)

ㅁ :  NUR(Not Used Recently)

ㅂ : SCR(Second Chance Replacement, 2차 기회 교체)


6. 다음은 프로세스 상태 전이과정에 대한 일부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ㄱ : 준비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ㄴ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전이 되는 과정
더보기

ㄱ : Dispatch

ㄴ : Wake up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모음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1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2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4과목 변형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예상 문제] 필기 5과목 변형

+ Recent posts